본문 바로가기
일상 유용한 정보

한국-베트남 희토류 협력, 영어로 희토류는?

by oneandonly9413 2023. 5. 15.
반응형

영어로 희토류는 Rare Earth Elements : REE

稀土類(희토류) : 드물 희稀, 흙 토土, 무리 류類

희토류_영어로
희토류_중국_횡포_막내리나

 

저는 왜 이제가지 희토류에서 '희토'가 영어인 줄 알았을까요..? 

 

희토류의 뜻은 지구에서 매우 드물게 존재하는 금속 원소를 의미해서 희토류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희토류는 주로  영구자석, 반도체 연마제, 초전도체 등 주로 첨단산업 분야 (자동차, 전자제품처럼)의 중요한 재료로 널리 사용되기에 아주 필수적인 재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희토류는 LCD·LED·스마트폰 등의 IT산업, 카메라·컴퓨터 등의 전자제품, CRT·형광램프 등의 형광체 및 광섬유 등에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방사성 차폐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원자로 제어제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음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대외적으로 중국이랑 분쟁 생길때마다 중국에서 경제 보복차원에서 항상 걸고넘어지는 자원 중의 하나가 바로 '희토류' 입니다. 물질 특성상 농축된 형태로 산출되지 않고 희귀한 광물형태로 존재하기에 더욱 그 가치가 높다고 합니다. 실제로 지구에 도처에 매장되어 있지만 아쉽게도 현재까지 가장 많이 매장되어 있는 곳으로 알려진 곳이 바로 중국이었기에 툭하면 꺼내는 중국의 희토류 카드 횡포에 자유롭지 못했죠. 일단 매장량도 많은 데다가 생산과 정제 공정 과정이 까다롭고 그 과정에서 환경오염물질이 방출되다 보니 중국이 거의 독점하고 있다고 합니다. 

 

베트남_희토류
베트남_희토류

 

그런데 최근 뉴스에 따르면 중국 다음으로 희토류 매장량이 많은 세계2위 베트남이 최근 희토류 생산을 10배 가까이 늘려서 미국과 일본에 공급하고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베트남에 매장되어 있는 희토류가 중국의 절반 수준에 달해서 앞으로 차세대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 중국에 비해서 베트남은 서방 국가들과 관계가 좋은 편이어서 앞으로 주요 희토류 공급망으로 확실히 교체될 것으로 보입니다.

 

심지어 일본과 호주 미국 등이 적극적으로 베트남 희토류를 장려하고 지원에 나서고 있다고 하니까요. 전세계가 희토류 탈 중국을 선언하고 앞으로 베트남을 포함해 희토류 수입처를 다원화할 수만 있다면, 앞으로 생길 경제 보복에서 좀 더 자유로워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댓글